나의 단상(斷想 )

Hubris(오만.자만)가 내포하는 뜻

Big Roots 2013. 7. 16. 00:30

 

Hubris(오만.자만)가 내포하는 뜻

 

고대 그리스문명이 우리에게 남긴 관념(觀念) 혹은 개념(槪念) 가운데 Hubris가 있는데, 오만.자만 등으로 번역되며,자기의 분수(限界)를 모르는 거만한 인물을 지칭할 때 쓰이는 단어이다.

고대 그리스의 윤리.종교사상에서 질서가 서 있는 세계 속에서 인간의 행동을 규제하고 있는 한계를 불손한 마음으로 무시하는 오만.자만을 뜻하는 언어이며, 고대 그리스의 비극에서 이러한 Hubris는 철저하게 몰락하는 것으로 등장한다.

자신의 한계(限界)를 모르고 브레크 없는 자동차 같이 질주하는 사람의 끝은 대형사고 밖에 없기 때문이다.

겸손치 못한  Hubrisian(오만한 사람)은 사회(공동체)가 요구하는 행동 규범이나 Manual을 무시하고,주변의 말에 귀 기울이지 않는 특성을 지닌다.

천명사상(天命思想)을 갖는 맹자(孟子)도 이러함을 지적하였으니,,

"순천자흥(順天者興):하늘의 뜻에 순응하는 사람은 흥하고

역천자망(逆天者亡):하늘의 뜻에  거스르는 사람은 망한다." 고 설파하였다.

 

우리의 역사 가운데 수 많은 실증(實證)이 있는데,,,

☆미국의 자동차왕이라 불리던 Ford자동차회사 사장  Henry Ford는 탁월한 비젼과 창의력의 소유자였으나, 주위의 권유를 받아드리지 않고 스스로 개발한 한가지 모델과 색상을 고집하다가,G.M.에 미국 자동차

시장의 패권을 빼앗기고 수 없는 수모를 겪었다.

반면에 G.M.(General Motors)사장  Alfred P. Saloan은 참모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5개의 다른 회사를 합병하고, 각기 5개의 자율적 운영체(Division-캐디락,뷰익,올스모빌,시보레,폰티액)를 두었으며 각 운영체별로 자동차 수요층을 세분화 하여 5개의 모델, 총 25개의 모델로 경쟁하여 미국 자동차 시장을 석권한 것이다.

☆중국의 초나라 장군 집안 출생인 항우는 힘도 장사이고 명석한 두뇌의 소유자 였으나,보잘 것 없는 평민 출신 유방에게 패한 것을 볼 수 있다.

유방이 항우를 이길 수 있었던 것은, 유방이 자신의 부족함(限界)을 깨닫고 부하들의 말에 귀 기울이고 그 들의 능력을 십분 발휘하게 하였기 때문이다.

 

사회(공동체)의 Leader라 불리는 사람들이 새겨 들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우포늪

 

 

 

'나의 단상(斷想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이라는 강  (0) 2013.07.23
배움과 수신(修身)의 길  (0) 2013.07.17
Leader와 Boss  (0) 2013.07.13
지난 날의 아픈 추억  (0) 2013.06.25
노인의 통찰력을 빌리는 사회를 소망하며  (0) 2013.05.06